비운의 여배우 김삼화
- 2004 Autumn (통권 11호), 뉴스, 무비파일, 한국영화 그때 그 시절
- 2004년 9월 21일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READ MORE*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타깃을 잡고, 첩보를 기획하고, 적당한 기회에 터뜨리는 일’은 살아남기 위한 방편이자 출세를 보장하는 지름길이었다.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초로에 접어든 허름한 행색의 한 남자가 스프레이를 들고 관공서 외벽에 큼지막한 글씨를 휘갈긴다…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로그 원 부대의 장렬한 최후를 바라본 라더스 제독의 나지막한 읊조림. 그들의 포스는 곧 저버릴 수 없는 대의와 희망이었다.
빈곤에서 벗어나 풍요로운 삶을 물려주고픈 아버지들의 바람은 그들의 땅에 스민 탐욕과 살육의 역사마저 자식세대들에게 고스란히 전가하며 끊이지 않는 폭력의 연대기를 이루었다.
READ MORE‘미’와 ‘추’란 대립적 개념이 환희와 비탄, 삶과 죽음의 역설적 공존만큼이나 미묘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음을 제시한다.
READ MORE마이클 무어가 미국으로 가져가려 한 꽃은 이렇듯 인간과 역사에 대한 올바른 태도에 다름 아니다.
READ MORE어둠의 심연 너머에 무엇이 도사리고 있는지 도무지 알 수 없는 불안감에서 비롯된 공포는 곧 베일에 싸인 맹인의 정체에 관한 호기심과 결부되어 목숨만이라도 부지하고픈 도둑들의 심장을 옥죈다.
READ MORE영화가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 다큐멘터리 영화 <자백>을 연출한 최승호 PD는 이렇게 말한다. “적당히 해선, 세상은 바뀌지 않는다.” 국정원과 검찰이 합작하여 자행한 일련의 간첩조작 사건들을 집요하게 파헤친 영화 <자백>은 해직기자들이 주축을 이룬 독립언론매체 ‘뉴스타파’ 팀의 탐사보도물을 스크린으로 옮긴 작품이다. 제17회 전주국제영화제를 통해 대중에 첫 공개된 이 영화는 몇 개월간의 우여곡절 끝에 지난 13일 개봉하였다. <자백>은
READ MORE<아수라>의 군상들은 너무도 추악하고 비루하여 차마 외면하고픈 우리네 사회상의 음울한 민낯을 집요하게 드러낸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