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운의 여배우 김삼화
- 2004 Autumn (통권 11호), 뉴스, 무비파일, 한국영화 그때 그 시절
- 2004년 9월 21일
부산국제영화제 20년, 부산영상위원회 16년.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기간 동안 ‘영화도시, 부산’을 위해 보였던 행보에는 수많은 시도와 실패 그리고 갈등들이 반복되었을 것이다.
READ MORE‘영화도시 부산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에는 부산이 지역 영화산업의 발전을 위해 걸어온 길과 앞으로의 과제들을 제시한 김이석 동의대학교 영화학과 교수의 글과 더불어 <영화부산> 편집팀이 정리한 부산영상위원회 15년의 성과 ‘살아있네 영화도시 부산’이 실렸다.
READ MORE부산의 영화산업 육성정책에 대한 재검토 역시 필요하다. 짧은 시간에 국내외의 영화·영상산업 환경은 급변하였다.
READ MORE부산영상위원회는 ‘영화도시 부산’의 기반을 탄탄히 해온 다양한 영화제작 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 중이다.
READ MORE부산영상위원회는 영화를 매개로 한 영화인 재교육 및 대중교육을 제공하고 문화생활을 향유하는데 기여하며 부산시민들과 적극적으로 소통 중이다.
READ MORE부산관광공사는 맞춤형 관광코스로 ‘국제시장’의 영화촬영지를 포함한 관광코스를 개발하였고, 국내관광객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관광객들의 방문이 증가하여 주변의 상점, 숙박업소 등이 활기를 찾았다.
READ MORE도시 전체가 로케장소가 될 수 있어야 하고 시민들의 삶 속에 영화가 스며들어 영화가 ‘생활화’가 되고 ‘문화화’되어야 한다.
READ MORE영화도시로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부산 그 부산에서 영화 • 영상관련 학과가 있는 지역 대학에서는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 대학의 역할에 대해 이야기 하려고 한다
READ MORE2007년도 1/4분기 부산영상위원회 활동
READ MORE새로운 예술의 흐름을 선도하는 세계적인 영화도시 부산을 만들기 위해 공동 협력하게 되기를 진심으로 기대한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