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아… 부산국제영화제와 함께 환호와 탄식의 시월이 시작되고 있다. 많은 이들이 기쁜 마음이던 혹은 아쉬운 마음이던, 영화에 대한 개인적인 혹은 직업적인 정열을 불태우는 그런 부산의 시월이 다시금 돌아왔다. 이벤트에 앞서 부산국제영화제 본연의 힘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본다. 영화를 직접 생산하지 않지만 수많은 관객들에게 그리고 영화산업인들에게 그 공간과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영화제에 임하는 우리의 자세는 무엇이어야 하는가.
아! 아…
부산국제영화제와 함께 환호와 탄식의 시월이 시작되고 있다. 많은 이들이 기쁜 마음이던 혹은 아쉬운 마음이던, 영화에 대한 개인적인 혹은 직업적인 정열을 불태우는 그런 부산의 시월이 다시금 돌아왔다.
이벤트에 앞서 부산국제영화제 본연의 힘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본다. 영화를 직접 생산하지 않지만 수많은 관객들에게 그리고 영화산업인들에게 그 공간과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영화제에 임하는 우리의 자세는 무엇이어야 하는가. 어떤 관객에게는 한 편의 영화가 위안이며, 삶의 희망이며 혹은 한 개인의 인생을 바꾸기도 한다. 또 어떤 영화학도에게는 자신의 영화적 상상이 실재하는 작업으로 진행되기 위한 기회를 제공함과 아울러 무게 있는 선배들의 질책도 들을 수 있는 기회이다. 특히 부산국제영화제는 한국영화인들과 아시아영화인들, 그리고 더 넓게 전 세계의 영화인들을 만나는 가장 확실한 마당인데 이런 기회를 놓칠 수야 없지 않은가.
거대한 소용돌이 같은 영화제 기간에 부산영상위원회는 아시아필름마켓과 함께 다양한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전통의 ‘BIFCOM(부산국제필름커미션·영화산업박람회)’과 더불어 국내외 영화정책자들의 깊이 있는 논의의 장인 ‘아시안영상정책포럼(Asian Film Policy Forum)’ 그리고 올해로 10년을 맞는 ‘AFCNet(아시아영상위원회네트워크)’ 행사 등이다. 이러한 행사는 영화제에 오는 영화산업인들에게 어제보다는 미래를 논의하는 자리이며, 한 지역을 넘어서 아시아 혹은 전세계 영화인들과의 교류를 위한 공간이며, 프로그램으로서 그 역할을 다지고 있다.
부산영상위원회는 축제 준비와 아울러 여전히 영화에 관련된 밀도 있는 교육프로그램으로 지난 여름을 뜨겁게 보냈다. 지난 여름 그 엄청난 대작들의 홍수에도 불구하고 시간을 내어 부산까지 와서 열정적인 강의를 해준 모든 강사 분들께 깊은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 이에 기획으로 구성된 이하영 대표, 이채현 대표, 한선희 PD의 글에 새겨진 심도 깊은 현장감을 확인해 보시길 바란다.
또한 부산 출신의 감독으로서 의미 있는 말씀을 전해준 윤제균 감독의 인터뷰는 자칫 축제로 가벼이 넘어가 버릴 것 같은 이번 호의 무게를 더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문득 모 책자에서 나온 문구가 기억이 난다. ‘어떤 구체적인 물건을 생산하지 않고 오로지 그 경험만을 제공하는 사단법인은 그래서 초기의 열정과 정열, 헌신이 더욱더 중요한 조직…’ 이 문구가 떠오른 것은 혹 축제에 휩쓸려버릴지 모르는 우리의 영화에 대한 진지함과 열정을 다시 각오하자는 뜻으로 되새긴다.
올해도 모든 이들이 영화로 즐거운 시월이 되기를